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소속 11개 팀이 참가하는 첫 대회로, 예선과 본선으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피지가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고, 본선은 뉴칼레도니아에서 개최되었다. 본선에는 8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경기를 통해 뉴질랜드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9 FIFA 여자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벨칼레도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80년 오세아니아컵
1980년 오세아니아컵은 뉴칼레도니아 누메아에서 8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가 타히티를 4-2로 꺾고 우승했으며 최다 득점 팀이 되었다. - 누벨칼레도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83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1983년 O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첫 번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로,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누벨칼레도니, 피지가 참가하여 뉴질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뉴질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우승 기록이다. - 2018년 누벨칼레도니 - 2018년 8월 누벨칼레도니 지진
- 2018년 누벨칼레도니 - 2018년 12월 누벨칼레도니 지진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18년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2018년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는 칠레에서 개최된 CONMEBOL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대회로, 브라질이 우승, 칠레가 준우승, 아르헨티나가 3위를 차지했으며,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 있었다. -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은 가나에서 개최되어 나이지리아가 우승했으며,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여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메룬이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OFC 여자 네이션스컵 |
다른 이름 | 쿠프 도세아니 페미닌 드 풋볼 2018 (Coupe d'Océanie féminine de football 2018) |
개최 연도 | 2018년 |
개최국 | 누벨칼레도니 |
개최 기간 | 2018년 11월 18일 – 12월 1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4 |
경기 도시 수 | 4 |
결과 | |
우승팀 | 뉴질랜드 |
우승 횟수 | 6회 |
준우승팀 | 피지 |
3위팀 | 파푸아뉴기니 |
4위팀 | 누벨칼레도니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108 |
총 관중 수 | 4794 |
최다 득점자 | 세라 그레고리우스 (뉴질랜드): 8골 미건 구넴바 (파푸아뉴기니): 8골 |
최우수 선수 | 베치 해셋 (뉴질랜드) |
최우수 골키퍼 | 아디 투와이 (피지) |
페어 플레이 상 | 뉴질랜드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4년 |
다음 대회 | 2022년 |
2. 대회 방식
이번 대회에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회원국 11개 팀이 모두 참가했다. 대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5]
- '''예선:''' FIFA 랭킹 하위 4개 팀인 아메리칸사모아,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피지가 참가했다.[15][14] 예선은 2018년 8월 24일부터 8월 30일까지 피지에서 개최되었다.(원래는 아메리칸사모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7][3] 예선 1위 팀은 본선에 진출했다.
- '''본선:''' 예선 통과 1개 팀과 자동 진출 7개 팀, 총 8개 팀이 참가했다.[3]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 및 결승전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우승팀을 결정했다. 우승팀은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3. 참가국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처음으로 의무적인 토너먼트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OFC 회원국 11개 팀이 모두 이 토너먼트에 참가했다.[7]
나머지 7개 팀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참고: 누벨칼레도니와 타히티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회원국이 아니므로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출전 자격이 없다.
3. 1. 본선 직행 팀
쿡 제도, 누벨칼레도니,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사모아, 타히티, 통가는 자동 진출하였다.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처음으로 의무적인 토너먼트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OFC 회원국 11개 팀이 모두 이 토너먼트에 참가했다.[7]팀 | 예선 방식 | 참가 횟수 | 최고 성적 | FIFA 랭킹 (대회 시작 시점)[8] |
---|---|---|---|---|
쿡 제도 | 자동 진출 | 4회 | 3위 (2010년, 2014년) | 랭킹 없음 |
누벨칼레도니 | 2회 | 3위 (1983년) | 랭킹 없음 | |
뉴질랜드 | 11회 | 우승 (1983년, 1991년, 2007년, 2010년, 2014년) | 20위 | |
파푸아뉴기니 | 9회 | 준우승 (2007년, 2010년, 2014년) | 랭킹 없음 | |
사모아 | 3회 | 4위 (2003년) | 랭킹 없음 | |
타히티 | 2회 | 조별 리그 (2010년) | 랭킹 없음 | |
통가 | 4회 | 3위 (2007년) | 랭킹 없음 |
3. 2. 예선 참가 팀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은 처음으로 모든 OFC 회원국이 의무적으로 참가하는 토너먼트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OFC 회원국 11개 팀이 모두 이 대회에 참가했다.[7]예선 경기를 통해 본선 진출이 확정된 팀은 다음과 같다.
4. 예선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8년 8월 24일부터 8월 30일까지 피지 라우토카에서 개최되었다. 예선에는 미국령 사모아,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피지가 참가했으며,[15][14] 원래는 미국령 사모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3] 예선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은 본선에 진출한다.
4. 1. 예선 결과
전 경기는 라우토카의 처칠 파크에서 개최되었다. 경기 시작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UTC+12)이다.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3 | 2 | 1 | 0 | 7 | 1 | +6 | |
2 | 3 | 2 | 0 | 1 | 3 | 5 | -2 | |
3 | 3 | 1 | 1 | 1 | 2 | 1 | +1 | |
4 | 3 | 0 | 0 | 3 | 0 | 5 | -5 |
2018년 8월 24일 | 0 - 2 | [1] | |
2018년 8월 24일 | 1 - 5 | [2] | |
2018년 8월 27일 | 1 - 0 | [3] | |
2018년 8월 27일 | 0 - 0 | [4] | |
2018년 8월 30일 | 0 - 1 | [5] | |
2018년 8월 30일 | 2 - 0 | [6] |
피지가 예선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5. 본선
2018년 11월 18일부터 12월 1일까지 누벨칼레도니에서 본선 경기가 열렸다.[9] 경기는 코네, 누메아, 리푸, 마레의 4개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9] 경기 시작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UTC+11) 기준이다.
경기장 (위치) | 수용 인원 |
---|---|
요시다 스타디움 (코네) | 3,000 |
누마-달리 마젠타 스타디움 (누메아) | 16,000 |
스타드 드 아나세 (리푸) | 1,680 |
스타드 드 라 로슈 (마레) | 1,500 |
5. 1. 조별 예선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전에 진출한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UTC+11(NCT)이다.5. 1. 1. A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9 | 3 | 3 | 0 | 0 | 14 | 3 | +11 | |
6 | 3 | 2 | 0 | 1 | 8 | 8 | 0 | |
1 | 3 | 0 | 1 | 2 | 8 | 12 | -4 | |
1 | 3 | 0 | 1 | 2 | 5 | 12 | -7 |
2018년 11월 18일부터 24일까지 A조의 경기가 코네에서 진행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1)을 따른다.
경기일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
2018년 11월 18일 | 14:00 | 0 – 5 | ||
2018년 11월 18일 | 17:00 | 2 – 4 | ||
2018년 11월 21일 | 14:00 | 5 – 5 | ||
2018년 11월 21일 | 17:00 | 2 – 6 | ||
2018년 11월 24일 | 14:00 | 3 – 1 | ||
2018년 11월 24일 | 17:00 | 2 – 0 |
A조에서는 파푸아뉴기니와 누벨칼레도니(혼합)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5. 1. 2. B조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1)을 기준으로 한다.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뉴질랜드 | 9 | 3 | 3 | 0 | 0 | 27 | 0 | +27 |
피지 | 6 | 3 | 2 | 0 | 1 | 15 | 10 | +5 |
통가 | 3 | 3 | 1 | 0 | 2 | 1 | 23 | -22 |
쿡 제도 | 0 | 3 | 0 | 0 | 3 | 0 | 10 | -10 |
경기일 | 경기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18년 11월 19일 | 14:00 | 뉴질랜드 | 11 – 0 | 통가 | 누메아 |
2018년 11월 19일 | 17:00 | 쿡 제도 | 0 – 3 | 피지 | 누메아 |
2018년 11월 22일 | 14:00 | 통가 | 0 – 12 | 피지 | 누메아 |
2018년 11월 22일 | 17:00 | 뉴질랜드 | 6 – 0 | 쿡 제도 | 누메아 |
2018년 11월 25일 | 14:00 | 통가 | 1 – 0 | 쿡 제도 | 누메아 |
2018년 11월 25일 | 17:00 | 피지 | 0 – 10 | 뉴질랜드 | 누메아 |
B조에서는 뉴질랜드와 피지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뉴질랜드는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했고, 피지는 2승 1패로 2위를 기록했다. 통가는 1승 2패, 쿡 제도는 3패로 탈락했다.
5. 2. 결선 토너먼트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2018년 11월 28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피지와 뉴질랜드가 각각 파푸아뉴기니와 누벨칼레도니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2]2018년 12월 1일 누메아의 누마-달리 마젠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파푸아뉴기니가 누벨칼레도니를 7-1로 꺾고 3위를 차지했고,[1] 결승전에서는 뉴질랜드가 피지를 8-0으로 이기고 우승하여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4]
5. 2. 1. 준결승전
2018년 11월 28일, 리푸에서 열린 첫 번째 준결승전에서 피지가 파푸아뉴기니를 5-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같은 날 마레에서 열린 두 번째 준결승전에서는 뉴질랜드가 누벨칼레도니를 8-0으로 대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2]
5. 2. 2. 3·4위전
2018년 12월 1일 누메아의 누마-달리 마젠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파푸아뉴기니가 누벨칼레도니를 7-1로 크게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1]경기 정보 | ||
---|---|---|
일시 | 2018년 12월 1일 14:00 (UTC+11) | |
경기장 | 누마-달리 마젠타 스타디움, 누메아 | |
관중 | 400명 | |
심판 | 피나 안젤로 (바누아투) | |
팀 | 득점 | 득점 선수 |
파푸아뉴기니 | 7 - 1 | M. 구넴바 (5, 36, 54, 82), 가봉 (41), 우남바 (52), 비룸 (84') |
누벨칼레도니 | 파호아 (60') |
5. 2. 3. 결승전
2018년 12월 1일 누메아의 누마-달리 마젠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뉴질랜드가 피지를 8-0으로 크게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4]뉴질랜드는 경기 시작 2분 만에 로지 화이트의 골로 앞서나갔고, 6분에는 사라 그레고리우스가 페널티킥으로 추가골을 넣었다. 베치 하세트가 38분과 55분에 득점했고, 메이카일라 무어와 케이티 루드도 각각 득점에 성공했다. 로지 화이트는 경기 종료 직전 추가골을 넣어 8-0 대승을 완성했다.[4]
이 경기의 결과로 뉴질랜드는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과 2020년 하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6. 우승
2018년 OFC 여자 네이션스컵 |
---|
뉴질랜드 |
6번째 우승 |
7. 수상
미건 구넴바